본문 바로가기
#생활 정보 살림 리뷰

기초연금 수급자격 나도 탈수 있을까?( 2025년 최신 수급기준 완벽정리 )

by 피치쿠쿠 2025. 4. 10.
반응형

기초연금 2025년 수급자격 정리

기초연금 수급자격 나도 탈수 있을까?( 2025년 최신 수급기준 완벽정리 )

안녕하세요.

피치쿠쿠입니다.

 

오늘은 많은 분들이 관심 가지는 기초연금에 대해
처음부터 끝까지 깔끔하게 정리해보려 합니다.
저도 부모님께 설명드리려고 공부해보니
의외로 알아야 할 포인트들이 꽤 많더라구요.

 

이 글 하나로
기초연금 수급자격, 선정기준, 금액, 감액·지급정지 사유, 이의신청 방법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릴게요.

보건복지부 출처


1. 기초연금이란?

기초연금은
만 65세 이상 어르신 중 소득과 재산이 일정 기준 이하인 분들
국가가 매월 일정 금액을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쉽게 말하면,
"노후생활의 기본을 국가가 조금 도와준다"는 취지로
2014년부터 시행되고 있습니다.

 


2. 기초연금 수급 자격

기본 요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 연령 요건: 만 65세 이상
  • 국적 요건: 대한민국 국적 소지, 국내 거주자
  • 소득·재산 요건: 선정기준액 이하일 것

, 단순히 나이만 찼다고 다 받는 건 아니고,
소득과 재산 심사를 통과해야 합니다.

기초연금 수급 자격을 다시 인정받을 수도 있습니다.


3. 2025년 기초연금 선정기준 (소득인정액 기준)


구분 단독가구 부부가구
월 소득인정액 기준 228만 원 이하 364만 8천 원 이하

소득인정액이란,

"실제 소득 + 재산을 환산한 금액"을 의미합니다.

  • 예금, 부동산이 많으면 소득이 적어도 탈락할 수 있어요.

 


4. 2025년 기초연금 지급 금액

2025년에는 지급 금액도 인상되었습니다.

구분 최대 지급액
단독가구 월 최대 34만 8,000원
부부가구 (각 50%) 월 최대 각 29만 6,000원 (부부 합산 59만 2,000원)

※ 부부 모두 수급할 경우에는 감액 적용(20% 감액 후 각각 지급)




5. 국민연금 수령자에 따른 기초연금 감액 기준 (2025년)

국민연금을 받는 분들은 일정 금액 초과 시
기초연금이 감액됩니다.

국민연금 월 수령액 기초연금 지급방식
0원 ~ 64만 원 이하 기초연금 전액 지급
64만 원 초과 ~ 154만 원 이하 기초연금 일부 감액
154만 원 초과 기초연금 지급 제외 가능성 (소득기준 초과)

,

  • 국민연금 수령액이 64만 원을 넘기 시작하면
    기초연금이 감액되기 시작합니다.
  • 154만 원 이상이면 수급이 어려워질 수 있어요.

주의할 점

  • 국민연금 수령액이 높을수록 감액폭이 커진다.
  • 소득과 재산 상황을 함께 고려해 최종 선정된다.

6. 재산과 소득 산정 방법

기초연금 신청 시
다음 항목이 꼼꼼히 심사됩니다.

① 소득

  • 근로소득, 사업소득, 연금소득 등

② 재산

  • 부동산, 금융자산, 차량 등

③ 재산 환산 방법

  • 부동산, 예금 등을 월 소득으로 환산해서 소득인정액 계산

핵심 포인트

    • 예금이나 부동산이 많으면 탈락할 수 있음
    • 전세 사는 경우에는 전세금도 재산으로 반영됨

기초연금 신청 체크리스트

  • 나이 확인: 만 65세 이상(1959년생 포함)
  • 국적 확인: 대한민국 국적 + 국내 거주
  • 소득·재산 기준 확인: 소득인정액 단독 228만 원, 부부 364만 8천 원 이하
  • 국민연금 수령액 확인: 월 64만 원 초과 시 감액 여부 확인
  • 준비 서류: 신분증, 통장사본, 소득·재산 증명자료 등
  • 신청 장소: 주민센터 또는 국민연금공단 지사
  • 신청 시기: 생일 한 달 전부터 신청 가능
반응형

7. 기초연금 지급정지 사유

수급 중이라도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기초연금 지급이 중단될 수 있습니다.

  • 소득·재산이 기준 초과
  • 해외 체류 90일 초과
  • 사망
  • 주민등록 말소 또는 거주불명 등록

특히 해외 장기체류(90일 초과)는 자주 발생하는 지급정지 사유입니다.

 


8. 기초연금 이의신청 방법

"나는 기준에 맞는데 왜 탈락했지?"
이럴 때는 이의신청이 가능합니다.

이의신청 절차

  1. 탈락 통지일로부터 90일 이내 신청
  2. 관할 국민연금공단 지사나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
  3. 소명자료 제출 (소득, 재산 증빙자료)

심사 후
기초연금 수급 자격을 다시 인정받을 수도 있습니다.

 


9. 기초연금 신청 방법

기초연금은
직접 신청해야 받을 수 있습니다.
(자동으로 지급되는 게 아니라는 점 주의!)

신청 장소

  • 주소지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
  • 또는 국민연금공단 지사

신청 방법

  1. 직접 방문하여 신청
  2. 인터넷 신청 가능 (복지로 사이트)
    복지로 홈페이지

신청 시기

  • 만 65세 생일이 도래하는 달의 1개월 전부터 신청 가능
    (예: 1959년 5월생이면 2025년 4월부터 신청 가능)

Tip

  • 생일이 다가오면 미리 준비해서 신청하는 것이 좋습니다.
  • 늦게 신청하면 그만큼 지급도 늦어집니다.( 소급적용 되지 않아요 지나간 것은 주지 않습니다 )

 


10. 기초연금 신청 시 준비해야 할 서류

신청할 때 기본적으로 다음 서류를 준비해야 합니다.

기초연금 신청 준비물 체크리스트

  • 신분증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등)
  • 통장사본 (본인 명의 계좌)
  • 소득 관련 증빙자료 (필요 시)
  • 재산 관련 증빙자료 (부동산, 금융자산 증명서류)
  • 배우자 서류 (부부 모두 신청 시)
  • 위임장 및 대리인 신분증 (대리 신청 시)

주의사항

  • 금융재산(예금, 적금 등)이 많은 경우, 금융기관에서 잔액증명서를 요구할 수 있습니다.
  • 부동산이 있는 경우, 등기부등본 등 확인서류를 요구할 수 있습니다.
  • 부부 모두 신청하는 경우, 배우자 서류도 함께 준비해야 합니다.

전체 요약

정리하면,

  • 만 65세 이상이면서
  • 소득인정액이 단독 228만 원, 부부 364만 8천 원 이하라면
    기초연금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기초연금은
나이만 갖췄다고 받는 제도가 아닙니다.
소득과 재산 심사가 엄격하고, 국민연금 수령액에 따라 감액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기초연금은 노후 생활의 든든한 버팀목"

 

"혹시 내가 될까?" 싶은 분들도
주민센터나 국민연금공단에 문의해서
미리 체크해보는 걸 추천드립니다.

반응형

댓글